핫픽스

업데이트 40: 협곡의 심부

pc
협곡의 심부: 핫픽스 40.0.2
Oct 16, 2025

피해 감쇠 변경점:

협곡의 심부에서 피해 감쇠를 변경한 이유는 플레이어 그룹 간에 보스 유형의 적 난이도를 정상화하기 위해서였습니다. 그러나 커뮤니티 반응을 살펴본 결과, 해당 처치를 광범위하게 적용한 것이 의도치 않게 "목표 유형"의 적 (예시: 데몰리셔)를 처치하기 어렵게 만들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. 플레이어분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, 다가올 핫픽스를 통해 피해 감쇠의 표준화를 재정의하여 이를 진짜 보스들 / HUD 체력 바를 가진 적들에게만 적용할 예정입니다.

  • 피해 감쇠 변경점이 일반 목표 적들에게서 제거되었습니다. 이로 인해, 이러한 일반 목표 적들을 다시 한 번 원샷으로 처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  • 피해 감쇠가 이제 진짜 보스 및 HUD 체력 바가 있는 적들에게만 적용됩니다.
  • 피해 감쇠 효과를 유지하는 특정 적의 경우, 플레이어의 빌드가 충분히 강력하다면 원샷 처치가 가능하도록 값을 조정하였습니다.

더 이상 피해 감쇠 효과가 없는 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스칼드라 데디칸트
  • 데몰리셔 (네크라메크 포함)
  • 데이모스 저귤러스
  • 데이모스 삭숨 (및 삭숨 렉스)
  • 떠돌이 네크라메크 (보이드리그 및 본위도우)
  • 아말감
  • 엠피리언 유닛 (코퍼스 프록시마):
    • 오락스 액티닉
    • 오락스 바큘러스
    • 오락스 베르텍
    • 뉴몬 (모든 종류)
    • 밤백 (모든 종류)
    • 제르카 (모든 종류)
  • 에런트 스펙터
  • 그러즐링
  • 네크라마이트
  • 파보스의 자매들 하운드
  • 테크병 바바우
  • 트레져러
  • 터스크 썸퍼 (나르메르를 포함한 모든 종류)

원샷 처치가 가능한 피해 감쇠가 있는 보스 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어콜라이트
  • 인페스티드 오니

우리의 목표는 플레이어들의 강력한 빌드가 피해 감쇠가 된 적들에게 더 큰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었고, 여러분의 지속적인 피드백이 있다면, 함께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겁니다.

제작진은 다른 버그 신고와 피드백 또한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. 계속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공유해 주세요!

변경점:

  • 모트 앰프가 이제 시터스 내 퀼 온코로부터 모트 앰프를 수령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장착됩니다.
  • 아티스트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코르벡스 사르코파고 헬멧의 개방 애니메이션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.
    • 헬멧의 재질이 코르벡스의 몸체 소재와 맞지 않던 문제 또한 수정하였습니다.
    • 이 아이템의 크레딧이 제작자인 Lubox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던 점 또한 수정하였습니다! 죄송합니다, Lubox!
  • 퍼뮬로 시그나의 밝기를 늘려서 가시성을 높였습니다.
  • 저사양 기기를 위해 그리니어 소행성 타일셋에 안개를 추가하였습니다.

고친점:

지하 광산 변경점 & 고친점:

  • 강철의 길 지하 광산 의뢰를 완료하면 이제 스틸 에센스 1개를 보상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!
  • 분석할 준비가 된 버섯이 이제 현장 도감에서 "!"로 표시됩니다.
  • 지하 광산 의뢰 드롭 테이블에서 아크윙 총기 아케인 어댑터를 볼 수 없었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  • 본래 패치노트에서 해당 아이템을 강철의 길 한정으로 나열했으나, 이제 모든 지하 광산 의뢰 드롭 테이블에 이 아이템을 추가하였습니다.
  • 지하 광산 의뢰에서 Malva 노드의 플레이어들과 잘못 매칭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특정 지하 광산 타일셋에서 어콜라이트가 생성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 이로 인하여, 가끔 플레이어와 매우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해당 적이 생성되었습니다.
  • 금성에 추출기를 배치하려면 지하 광산 의뢰가 필요하도록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왕자의 특정 "환상"에서 시각 효과가 누락됐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새 패치가 적용된 후 왕자에게 먹이를 먹이려고 시도할 시 나타나는 임시 텍스트 스트링을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지하 광산 타일셋에서 발생하던 일부 소규모 적들의 내비게이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
주요 고친점:

  • 키메라 프롤로그를 시작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협곡의 심부가 출시되기 전에 모드 장치를 해금하는 데까지만 완료한 경우 보어의 전리품을 진행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프로티아의 블레이즈 아틸러리가 의도치 않은 능력치를 받게 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 이제 협곡의 심부 이전의 수치로 되돌아갔습니다.
  • 놋코의 스포어스프링의 시야선 체크로 인해 발생하던 성능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  • 이제 해당 어빌리티는 단순화된 레이캐스트 체크를 사용하여 대상을 찾습니다.
  • 오퍼레이터가 자쿠의 언타임 리프트로 생성된 리프트를 파괴할 수 있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이동 터널을 통해 시작된 미션에서 헬리오스의 인베스티게이터 프리셉트가 클라이언트에게 작동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(예: 포르투나 엘리베이터 등).
  • 전기와 관련된 요소를 결합할 때 라보스의 트랜스뮤테이션 프로브가 자동으로 캐스팅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자리만의 천사 퀘스트를 진행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고르지 않은 지형에서 래그돌 형태의 적이 즉시 죽어버리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
성능 문제 & 크래쉬:

  • 테넷 아르카 플라즈모어의 시각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성능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지면 강타의 시각 효과로 인해 발생하던 성능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이바라의 컨센트레이티드 애로우를 널리파이어 버블에 쏘면 게임이 중단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리디머 프라임으로 인해 인해 발생하던 크래쉬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지하 광산 미션에서 포르투나로 귀환 시 발생하던 크래쉬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게임 종료 시 드물게 발생하던 크래쉬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
일반 고친점:

  • 헬민스로 흡수된 스마이트가 잘못된 범위 피해값을 가지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  • 이제 오베론의 스마이트와 같은 값을 가집니다!
  • 알트라 센티넬 윙에 충돌 판정이 일어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테크노사이트 코다를 생성한 후 성계 지도 콘솔에 의도치 않은 상호 작용이 일어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배경 게임플레이 요소가 모드 메뉴에 겹치게 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아야탄 보물 화면에 들어가거나 나올 시 모드 메뉴의 배경이 사라지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발키르의 립라인 음향 효과가 발키르와의 거리에 관계없이 분대원에게 최대 볼륨으로 들리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야렐리 및 메룰리나 프라임 배경을 거래할 수 있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  • 만약 해당 배경을 거래하신 분들은, 저희 워프레임 서포트로 문의해 주세요!
  • 나타의 통신에서 텍스처가 누락되었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세팔론 시마리스의 제공품에서 보는 동반자 리벤 모드에 아이템 설명 대신 드롭테이블이 표시되는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밀리 다우티를 장착한 채로 콘클레이브 무기고에서 워프레임을 미리보기할 시 애니메이션이 망가져 보이는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오비터 내에서 스프로들링 이페메라의 스프로들링들이 사라지는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그리니어 수중 연구소 타일셋에 존재하던 맵의 구멍을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격리 금고 미션 중 오탁이 걸려 움직이지 못하던 지점을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아이돌론의 평원에서 호스트 이전이 일어난 후 라디오 콘솔을 통해 받은 의뢰 단계를 완료할 시 발생하는 스크립트 에러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스티아낙스의 타로스 리썰리티 개조로 인해 발생하는 스크립트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놋코의 리루트로 인해 발생하던 스크립트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호스트 이전 후 무한 보이드 균열 미션에서 스크립트 오류가 일어나, 간혹 랜덤으로 나온 적 레벨이 마이너스로 지정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.
  • DLSS와 SSGI를 동시에 활성화할 경우 발생하던 그래픽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.

알려진 문제점들을 확인하려면 전용 스레드를 확인해 주세요: https://forums.warframe.com/topic/1470876-known-issues-the-vallis-undermind/